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This is Mi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This is Mi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200)
    • 후기 및 회고 (6)
    • 개발 (21)
      • Git (4)
      • 데이터베이스 (5)
      • 클라우드 (DevOps) (5)
      • 오픈소스기여 (6)
    • 학습 (11)
      • 네트워크 (1)
      • 알고리즘 (3)
      • 운영체제 (1)
      • 자료구조 (1)
      • Design Pattern (1)
      • Node.js (4)
    • 코딩 테스트 (161)
      • 프로그래머스 (39)
      • 백준 (91)
      • SW Expert Academy (23)
      • SQL (3)
  • 방명록

javascript (4)
[자바스크립트] 그 유명한 호이스팅

내용 구성호이스팅(Hoisting)변수 호이스팅 (Variable Hoisting)함수 호이스팅 (Function Hoisting)TDZ (Temporal Dead Zone)요약 정리마치며 참조 자료https://ui.toast.com/weekly-pick/ko_20191014[코딩만화] Scope가 뭔가요? (feat: let, const, var의 차이) (youtube.com)1. 호이스팅(Hoisting)이란?변수나 함수의 선언이 해당 스코프의 최상단으로 끌어 올려지는 행위이다. 변수와 함수가 호이스팅 되는 경우가 살짝 다른데, 자세히 알아보자. 참고로 var, let, const로 선언한 변수, function 선언과 화살표 함수 모두 호이스팅된다! 다만 let, const, 화살표 함수는 va..

학습/Node.js 2024. 7. 7. 22:45
[자바스크립트] 스코프에 대한 모든 것

내용 순서 스코프 (Scope) 글로벌 스코프 (Global Scope) - Script, Global 함수 스코프 (Function Scope) 블록 스코프 (Block Scope) 스코프 체인 (Scope Chain) 요약 정리 마치며 참고자료 JavaScript - Execute context (youtube.com) [NHN FORWARD 2021] 결국 자바스크립트를 알아보기로 했다. (youtube.com) 1. 스코프 (Scope) 범위라는 영단어인 스코프는 자바스크립트에서도 코드가 접근할 수 있는 변수들의 범위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론 이전에 포스팅했던 실행 컨텍스트의 메모리 영역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여러 종류의 스코프가 존재하고, 각 스코프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다른 핵..

학습/Node.js 2024. 4. 22. 20:47
[자바스크립트] 실행 컨텍스트에 콜 스택 더하기

내용 구성실행 컨텍스트스택콜 스택 (Call Stack)마치며 참고 자료(195) [NHN FORWARD 2021] 결국 자바스크립트를 알아보기로 했다. - YouTube실행 컨텍스트이전 글에서 실행 컨텍스트를 다뤘다. 자바스크립트가 로드되면 엔진이 실행 컨텍스트를 생성하는데, 실행 컨텍스트는 코드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모임이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면 되고, 이제 콜 스택에 대해 알아보자! 예제 코드로 맛 보는 실행 컨텍스트내용 구성 함수 객체 실행 컨텍스트 (Execute Context) 마치며 참고 자료 [NHN FORWARD 2021] 결국 자바스크립트를 알아보기로 했다. (youtube.com) 함수 객체 본격적으로 실행 컨텍스트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thisismi.tistor..

학습/Node.js 2024. 4. 2. 00:26
[자바스크립트] 예제 코드로 맛 보는 실행 컨텍스트

내용 구성함수 객체실행 컨텍스트 (Execute Context)마치며 참고 자료[NHN FORWARD 2021] 결국 자바스크립트를 알아보기로 했다. (youtube.com)함수 객체본격적으로 실행 컨텍스트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를 먼저 살펴보자. function add3(n) { const three = 3; const result = three + n; return result;}add3(5); // 서브 루틴으로 실행 (결과: 8)add3.three; // 일반 객체로 실행 (결과: undefined) ESMAScript에서 함수 객체는 일반 객체의 확장판이다. 함수명 뒤에 소괄호()를 붙여 서브 루틴(Subroutine)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수명 ..

학습/Node.js 2024. 4. 1. 22:32
이전 1 다음
이전 다음
인기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TAG
  • 정답코드
  • LEVEL2
  • traveline-infra
  • 이코테
  • git
  • DP
  • 파이썬
  • 완전탐색
  • Study
  • 단계별로풀어보기
  • Github
  • 부스트캠프
  • 재귀
  • mysql
  • level3
  • BFS
  • 부트캠프
  • 정렬
  • Greedy
  • union-find
  • 클라우드
  • 백준
  • javascript
  • DFS
  • level1
  • traveline
  • 구현
  • mongodb
  • NCP
  • 우선순위큐
more
링크
  • GitHub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